로그인   |   회원가입
한국말 바탕차림
더보기

정음연구-낱말

훈민장음 연구에 필요한 바탕 낱말

최봉영
2023-11-10

한국말 말차림법

한국말 말차림법의 핵심은 한국말을 이루는 네 가지 바탕, 즉 1) 마디말 차림새, 2) 매듭말 차림새, 3) 포기말 차림새, 4) 씨말 차림새를 풀어내는 데 있다. ‘마디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한국말에서 마디말(어절)은 포기말(문...

최봉영
2023-10-19

사람이 개념을 차려서 ...

사람이 개념을 차려서 알아보는 일 크게 8갈래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최봉영
2023-08-13

대(對)와 대(待)와 ...

이쪽과 저쪽이 알아보고 알아준 일을 해서 접대하는 일이 이루어짐

최봉영
2023-08-11

사람이 무엇을 알아가는...

사람이 무엇을 알아가는 일과 무엇을 익혀서 배우는 일

최봉영
2023-08-01

한국말에서 개념의 단위...

한국말에서 개념의 단위와 갈래

최봉영
2023-08-01

한국말에서 <먹는 ...

한국말에서 <먹는 일>을 담아내는 세 가지 마디말

최봉영
2023-08-01

한국말에서 풀이 마디말...

한국말에서 풀이 마디말을 이루는 앛씨말과 겿씨말(2)

최봉영
2023-08-01
교안
더보기

한국사람과 한문(漢文)

1. 한국사람이 중국에서 가져온 문언문(文言文)이나 백화문(白話文)을 중국식 말소리로 읽으면서 말하고, 듣고, 읽고, 쓰고, 짓는 일을 함.2. 한국사람이 중국에서 가져온 문언문(文言文)이나 백화문(白話文)을 한국식 말소...

최봉영
2024-08-17

68회 한국철학은 누가...

인격발달 : 어린이 단계에서 어른 단께로 나아감.

최봉영
2024-07-01

앎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앎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최봉영
2024-04-06

한국사람은 머리가 어떻...

한국사람은 머리가 어떻게 돌아가는가?

최봉영
2024-03-23

우리는 왜 말을 차려야...

우리는 왜 말을 차려야 하는가차례에 맞게 차리는 것이 차리는 것

최봉영
2023-11-11

주시경은 한국말 말소리...

주시경은 한국말 말소리를 어떻게 풀었는가?

최봉영
2023-10-14

말하는 사람과 셈하는 ...

제49회 묻따풀학당 바탕차림공부 모임주제: 말하는 사람과 셈하는 기계가 함께 하는 세상

최봉영
2023-09-23

자유란 무었인가?

제48회 묻따풀학당 바탕말차림 공부 모임주제: 자유란 무었인가

최봉영
2023-09-09
최봉영 TV
더보기

한국사람에게 아름다움은...

최봉영
2019-11-24

아름다움과 나다움

Moon
2019-11-06

한국인에게 학습이란 무...

Moon
2019-11-06

반갑다의 말뜻

Moon
2019-11-01

사람과 사람다움이란 ...

Moon
2019-11-01
컬럼 글
더보기

월간조선 한국문화의 심...

한국사람 퇴계 이황과 한국말

최봉영
2019-10-02

월간조선 한국문화의 심...

한국사람과 굮가

최봉영
2019-10-02

월간조선 한국문화의 심...

한국사람과 소통

최봉영
2019-10-02

월간조선 한국문화의 심...

한국사람과 학자, 사업가, 정치가

최봉영
2019-10-02

월간조선 한국문화의 심...

한국사람과 공공성

최봉영
2019-10-02

월간조선 한국문화의 심...

한국사람의 선진화에 대한 열망

최봉영
2019-10-02
최봉영 저서
더보기

한국사람에게 OO은 무...

한국인이 바라는 ‘함께 사람답게 살아가는 세상’,그 꿈을 찾기 위한 6개의 열쇳말을 묻고 따져서 풀다!정치가 어떻고, 교육이 어떻고, 누구의 인성이 어떻고, 외모가 어떻고, 성문제가 어떻고, 누가 누구 덕에 어떻게 됐다더라…. 한국인...

muttapul
2024-04-19

한국말 말차림법

[한국말 말차림법]한국말이 가진 힘을 또렷이 드러낸 완전히 새로운 한국말 문법[한국말 말차림법]은 그동안 쌓여온 문제의식 속에서 태어난 책이다. 한국말을 배우고 쓰는 사람들의 머릿속애 있는 말의 바탕과 차림새를 좇아 씨밀과 마디말과...

최봉영
2023-10-19

한국사람에게 아름다움이...

오늘날 한국사람이 일상으로 말하느 이름은 한 아름, 두 아름 따위로 말하는 아름 이다.아름답다애소 아름은 알과음을 아우른 것을 이어서 소리 낸 낱말이라고 말할 수 있다.다움: 한국말에서 답다는 사람답다, 남자답다, 부모답다, 꽃답다,...

최봉영
2021-04-30

영조와 사도세자 이야기

이 책은 사도(思悼)라는 시호를 가진 세자에 관한 이야기다. 세자는 국왕을 이어서 앞으로 국왕의 자리에 오를 사람을 일컫는데, ‘사도’라는 시호가 붙은 것은 세자가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죽음으로써 이후에 시호를 갖게 되었음을 말한다....

최봉영
2013-12-31

말과 바탕공부

한국인이 한국말로써 오랫동안 갈고 닦아온 경험, 논리, 정보, 슬기 따위를 드러내고 풀어내어 사람들이 살판을 차리고 살맛을 느끼는 일에 도움을 주는

최봉영
2013-08-20

한국인에게 나는 누구인...

나와 남이 하나의 우리를 이룸으로써 한국인은 나를 위하는 일과 남을 위하는 일을 우리를 위하는 일로만들어 나갈 수 있다.한국인은 우리를 통해서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에서 비롯하는 이기(나를 위하는일)와 이타(남을 위하는 일)의이분법을 ...

최봉영
2012-08-14

한국 사회의 차별과 억...

한국 사회의 차별과 억압제 1 장 한국문화 속의 차별과 억압1. 차별과 억압이 문제되는 이유2 관계 맺음의 두 방식3 차별과 억압에 따른 관계 맺음4 조선시대의 유교문화와 차별과 억압의 문화요소

최봉영
2005-01-10

본과 보기 문화이론

본질로서 "본", 현상으로서 "보기", 본질과 현상의 이상적 만남으로서 "본보기"가 어떠한 구조를 갖고 있는지 분석하여, 사물 인식과 문화 이해를 한데 모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이론을...

최봉영
2002-12-05
최봉영 기고 글
더보기

말과 말씀

세종대왕이 지은 훈민정음의 서문은 첫마디가 ‘나랏말씀’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제까지 누구도 ‘나랏말씀’에 나오는 ‘말씀’이 무엇을 가리키는 말인지 또렷하게 풀어내지 않았다. 이러니 사람들은 ‘나랏말씀’을 줄곧 ‘나랏말’로 풀어왔다...

최봉영
2022-04-04

반갑다와 반하다와 반기...

‘반갑다’의 뜻을 알기 위해서는, ‘반갑다’라는 말의 짜임새를 살펴보아야 한다. ‘반갑다’는 ‘반+갑다’로서, ‘반’과 ‘갑다’로 이루어진 말이다. ‘반’과 ‘갑다’의 짜임새를 알게 되면, 사람들이 왜 ‘반갑다’라는 인사말을 주고받게...

최봉영
2022-02-21

Being과 존재와 것...

오늘날 한국사람은 영국말 Being을 존재라는 한자 낱말로 옮긴다. 사람들은 존재라는 말을 바탕으로 삼아서 ‘존재론’, ‘존재성’, ‘존재감’, ‘존재 이유’, ‘존재 의미’, ‘존재한다’와 같은 말을 함께 쓰고 있다. 한국사람이 B...

최봉영
2022-01-10

가운데와 中과 cent...

오늘날 한국사람은 한국말 ‘가운데’와 중국말 ‘中’과 영국말 ‘center’를 모두 쓴다. 사람들은 ‘가운데’와 ‘中’과 ‘center’가 같은 뜻을 가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런데 ‘가운데’와 ‘中’과 ‘center’는 같은 점과 다...

최봉영
2021-11-22

얼과 얼치기와 얼다

“국민교육헌장”에 ‘조상의 빛난 얼’이라는 말이 들어가게 된 것은 위당 정인보가 1935년 1월 1일부터 1936년 8월 29일까지 동아일보에 “오천년간 조선의 얼”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사를 연재한 것에서 비롯한다. 정인보는 일제강점기...

최봉영
2021-10-25

있음과 없음

1. 어디에 무엇이 있다. 2. 있음의 갈래: 한국말에서 ‘있다’는 어떤 것에서 볼 수 있는 꼴을 담아내기도 하고, 일을 담아내기도 한다.3. 갖고 있음과 가지고 있음:

최봉영
2021-09-13

이다와 아니다, 참이다...

사람들이 논리라고 부르는 것은 마음의 <밖>에 있는 ‘무엇’과 마음의 <안>에 있는 ‘어떤 말’이 서로 대응하는 것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를테면 사람들은 마음의 <밖>에 있는 ‘무엇’을 마음의 <안>에...

최봉영
2021-08-09

느끼다와 얼이다와 녀기...

한국사람은 나라는 임자가 몸을 바탕으로 머리를 굴려서 마음의 세계를 만들어가는 것을 ‘것’, ‘늧’, ‘느끼다’, ‘얼’, ‘얼이다’, ‘말’, ‘넋’, ‘녘’, ‘녀기다’, ‘알’, ‘알다’와 같은 말로써 풀어왔다.사람들은 몸과 머...

최봉영
2021-07-19
묻따풀 한국말
오늘 더 이상 열지 않기
닫기